Share to: share facebook share twitter share wa share telegram print page

회령암군

회령암군은 한반도의 제4기 하세 관입암류이다.

개요

회령암군은 함경북도 회령시, 온성군, 새별군 일대에 크고 작은 관입암체들로 널려있는데 이들이 몰켜있는 곳은 두만강습곡대 안의 제3기층 분포구역이다. 이들의 분포면적은 약 160 ㎢로 축척 1:20만 회령, 라진도폭 조사 당시에 처음 밝혀져 이 관입암류를 회령암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회령암군 관입암체들은 주로 제3기 새별통과 하면통 암석들과 부분적으로 두만계 또는 두만강암군 암석들을 뚫었다.

지질학적 특징

회령암군은 층모양, 접시모양, 기둥모양, 맥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주입층모양암체는 경원군 성내리와 그 밖의 여러 지방에 널려있는데 그 두께는 1 m로부터 260 m까지이며 길이는 수 m로부터 6.5 ㎞ 까지이다. 층상암체들은 배태암의 층리를 따라 주입되여있다. 이러한 암체들은 분출암과 같은 놓임특성을 가지지만 그것이 맥상암체와 연결될 때에는 층리를 자르고 있다.

기둥상암체들은 회령시와 경원군에서 볼 수 있다. 기둥모양암체변두리에서는 그로부터 갈라져나온 층상암체를 볼 수 있다.

회령암군의 구성암석은 암체의 변두리에서 안으로 들어가면서 현무암에서 조립질현무암 및 감람석조립질현무암에서 알칼리휘장암 및 휘장암으로 넘어가고 있다. 하지만 한 암체가 단일한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도 있다.

일반적으로 현무암과 조립질현무암은 주입층상암체들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알칼리휘장암 및 휘장휘록암은 맥모양암체에서 특징적이다.

현무암은 검은색, 검은 재색을 가지며 현무암조직, 반암조직을 가진다. 주성분광물은 사장석과 휘석이며 자철광을 12%까지 함유할 때도 있다. 일부 현무암에는 감람석 반정이 5% 정도 들어있다.

조립질현무암은 어두운 풀색이며 사장석, 휘석, 감람석으로 되여있으며 자철광과 티탄철광이 일부 들어간다.

형성조건

회령암군의 염기성암류는 준알칼리 및 알칼리현무암계열의 분화물이다.

감람석조립질현무암의 형성온도는 960 ~ 980 ℃이상이고 압력은 50 MPa이다. 이는 1 ㎞ 안팎의 지표부근조건을 지시하는 것이다. 회령암군은 초기 상부맨틀에서부터 많이 분화된 조성을 가지는 현무암 암장에서 형성되었다. 이는 대륙 내 심부단열대를 따라 분화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문헌

  • 한룡연 외. 조선의 지질(증보판). 과학기술출판사, 2011. P235-236
  • 홍군진 외. 조선지질구성(5). 공업출판사, 1990. p386-387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