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얼빈(만주어: ᡥᠠᠯᠪᡳᠨ, 중국어간체자: 哈尔滨, 정체자: 哈爾濱, 병음: Hā'ěrbīn, 러시아어: Харби́н (도움말·정보) 하르빈[*], 중국조선어: 할빈)은 부성급시이자 중국헤이룽장성의 성도이다. 쑹화강 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공업 도시이다. 하얼빈은 중국에서 10번째로 큰 도시로 만주 지방의 정치, 경제, 과학, 문화, 통신의 중심지이다. 2020년 11월 1일 인구는 1000만명, 면적은 53,796km2이다.
하얼빈은 만주어로 "그물을 말리는 곳"을 뜻한다. 하얼빈은 "백조 목 위의 진주"라는 별명이 있는데 이는 아무르강이 흐르는 모양이 백조를 닮았기 때문이다. 또 길고 추운 겨울 때문에 "얼음 도시"라는 별명도 있다. 하얼빈은 겨울의 빙등 축제로 유명하고 러시아와의 무역 관문으로 알려져 있다. 1920년대에 파리와 모스크바의 새 양식이 상하이에 도착하기 전에 먼저 이곳에 왔기 때문에 중국의 패션 수도로 여겨졌었다.
하얼빈의 상당한 지역은 본래 부여에 속하였으며 이를 고구려와 발해가 이어받았다. 발해는 이지역에 막힐부를 설치했다.
발해가 멸망한 뒤에 생여진이 발해의 옛땅이 있던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일대에 정착했는데, 이들중 훗날에 금나라를 세우게 되는 완안부가 이지역의 아청 구에 거점을 두고 있었다. 이 거점은 훗날 상경 회령부로 격상되어 금나라의 수도 역할을 했으나, 금나라가 중도로 수도를 옮긴후 금나라가 멸망하면서 잊혀졌다.
1935년 둥칭철도가 일본에게 팔린 후, 그리고 1946년 이후 러시아인은 대부분 소비에트 연방으로 되돌아갔다. 다른 유럽인들도 오스트레일리아나 브라질, 미국으로 다시 이민 가거나 자신들의 모국으로 되돌아 갔다. 1988년까지 하얼빈에 남아 있던 러시아인은 나이든 30여 명뿐이었다.
다롄은 지역의 선적 중심지로, 선양은 금융 중심지로 여겨지는 동안, 하얼빈은 지역의 무역과 쇼핑 중심지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도시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중 하나에 위치해 있고 천연 자원의 풍부함, 편리한 교통 시스템, 인력 자원의 풍부함 등 수많은 이점들을 자랑한다.
2013년 하얼빈의 GDP는 5010억 8천만 위안(817억 달러)로 예년보다 8.9%증가하였다. 3차 산업의 생산량은 GDP에서 가장 큰 부문을 유지하였고 2674억 3천만 위안(205억 달러)로 예년보다 9.0% 증가하였다. 수출과 수입의 총량은 2012년 말 53억 3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하얼빈의 토양은 초르노젬으로 불리며 중국에서 가장 영양이 풍부하며 식량과 직물 관련 농작물을 재배하는 곳이다. 즉 하얼빈은 중국 곡물 생산의 기반이며, 농업 원료의 공급에 이상적인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포괄적인 산업 시스템을 통해 섬유, 제약, 식료품, 자동차, 야금, 전자, 건축 재료와 화학과 같은 경공업을 돕고 있다. 또한 '전력 발전의 수도'로 알려져 있으며 이곳에 설치된 수력과 지열 발전 설비는 중국 전체에 설치된 총 용량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외국인 투자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하얼빈 경제무역박람회는 17년 동안 해마다 개최되었고 누적 출품자 및 방문자 수가 130만 명을 넘어섰다. 외국인 직접 투자는 여전히 적은 편이지만 정부의 노력의 결과 점차 증가하고 있다.
기후
하얼빈은 냉대 활엽수림 기후와 냉대 초원 기후가 공존하는 냉대 동계 소우 기후에 속하며 일교차와 연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이다. 1월 평균최저기온은 -22.4℃, 평균최고기온은 -11.8℃이다. 7월 평균최저기온은 19.3℃, 평균최고기온은 28.2℃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539.4mm이다. 대체로 여름엔 덥고 겨울에는 러시아의 시베리아 대륙에서 불어오는 찬 바람의 영향을 받아 대체로 매우 추운 편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