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6호선 인천 ~ 강릉선이 됨.[1]
1972년 12월 20일 : 노선 개량으로 인해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도곡리 450m 구간을 500m 로 도로구역 변경[2]
1975년 10월 1일 : 양평군 단월면 모용리 ~ 청운면 가현리 총 280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380m 구간 폐지, 횡성군 서원면 유현리 ~ 공근면 초원리 총 360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620m 구간 폐지[3]
1976년 4월 7일 : 횡성군 둔내면 현천리 ~ 평창군 진부면 상진부리 총 10.087 km 구간 개량[4]
1981년 3월 14일 : 종점을 '강원도 강릉시 견소진'에서 '강원도 명주군 주문진읍'으로 변경함. 이에 따라 '인천 ~ 강릉선'에서 '인천 ~ 주문진선'이 됨.[5]
1981년 4월 13일 : 국도로 승격된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 명주군 주문진읍 성내리 43 km 구간 개통, 기존 지정 구간인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 강릉시 성내동 35 km 구간 폐지[6]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변경된 8 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7]
1982년 1월 25일 :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580m 구간 개통, 기존 교량 380m 구간 폐지[8]
1986년 5월 13일 : 기점을 '경기도 인천시'에서 '인천직할시 중구'로 변경함.[9]
1994년 7월 15일 : 횡성군 우천면 하금리 ~ 횡성읍 추동리 6.8 km 구간 개통[10]
1995년 12월 29일 : 남양주시 삼패동 ~ 와부읍 팔당리 2.8 km 구간 개통, 기존 남양주시 삼패동 ~ 와부읍 도곡리 3 km 구간 폐지[11]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인천직할시 중구'에서 '인천광역시 중구'로, 종점을 '강원도 명주군 주문진읍'에서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으로 변경함. 이에 따라 '인천 ~ 강릉선'으로 명칭이 환원됨.[12]
1998년 12월 31일 : 팔당대교 ~ 조안간 도로(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 조안면 능내리) 3.925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2 km 구간 폐지[13], 조안 ~ 양수간 도로(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4.186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5.49 km 구간 폐지[14], 양수 ~ 덕평간 도로(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 양평읍 오빈리) 15.2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6.73 km 구간 폐지[15]
1999년 11월 15일 : 양평 ~ 용문간 도로(양평군 양평읍 덕평리 ~ 용문면 삼성리) 4.1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16]
2000년 7월 1일 : 양평군 청운면 비룡리 ~ 용두리 2.2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25 km 구간 폐지[17]
2000년 12월 31일 : 용문 ~ 용두간 도로(양평군 용문면 삼성리 ~ 청운면 비룡리) 13.3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4 km 구간 폐지[18]
2001년 1월 1일 : 횡성군 횡성읍 마산리 ~ 공근면 신촌리 6.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5 km 구간 폐지[19]
2003년 11월 17일 : 평창군 봉평면 무이리 ~ 평촌리 5.426 km 구간 확장 개통[20]
2003년 12월 31일 : 횡성군 횡성읍 마산리 ~ 우천면 용둔리 구간 5.737 km 확장 개통[21]
2010년 12월 24일 : 오빈 교차로(양평군 양평읍 오빈리) 1.1 km 구간 입체화 개통[22]
2017년 6월 23일 : 둔내 ~ 무이간 도로 1공구(횡성군 둔내면 마암리) 1.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6 km 구간 폐지[25]
2017년 9월 22일 : 둔내 ~ 무이간 도로 1공구(횡성군 둔내면 현천리 ~ 화도리) 10.8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횡성군 둔내면 마암리 1.6 km 구간 폐지[26]
2017년 12월 4일 : 서원 ~ 공근간 도로(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 ~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초원리) 총 8.6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 ~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 유현리 총 1.35 km 구간 폐지[27]
2017년 12월 27일 : 둔내 ~ 무이간 도로 2공구(횡성군 둔내면 화동리 ~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33.1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횡성군 둔내면 화동리 ~ 평창군 진부면 상진부리 총 23.48 km 구간 폐지[28], 평창군 용평면 장평리 190m 구간 폐지[29]
2017년 12월 30일 : 두능 ~ 연곡간 도로(강릉시 연곡면 삼산리 ~ 영진리) 총 13.4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강릉시 연곡면 삼산리 ~ 송림리 총 4.09 km 구간 폐지[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