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부터 새로이 도입된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로고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Auction ALLKILL Starleague 2012)는 온게임넷 과 스포츠조선 의 공동 주최로 이루어지고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사의 전략시뮬레이션게임인 스타크래프트 II 로 개최되는 온게임넷의 첫 번째 스타2 리그이며, 2012년에 두 번째로 열리는 스타리그이다. 기존에 열린 스타리그를 포함해서 34번째 대회이며 전신으로 기록된 PKO '99을 포함하면 35번째 대회이다.
대회 개요
리그 컨셉 : New Beginning , 내가 나를 이기는 싸움 (To Survive For Victory)
스폰서 캐치프라이즈 : 좋은 상품을 죽이는 가격에 All Kill, 옥션
대회 방식
대회 일정
상금
상금규모 - 총 1억 800만원
우승 - 4000만원
준우승 - 2000만원
우승자, 준우승자를 제외한 시드자 2명부터 24강 진출자까지 차등 지급
16강 진출자 8명 : 1인당 200만원
8강 진출자 4명 : 1인당 300만원
시드자 2명 : 1인당 700만원
경기장
예선 - 신도림 테크노마트 인텔 e스타디움
스타리그 듀얼 - 용산 이스포츠 상설 경기장
16강 본선 - 용산 이스포츠 상설 경기장
결승전 - 서울 한양대학교 올림픽체육관
맵
비KeSPA (GSL / 외국인 / 아마추어) 오프라인 예선
32강 : WCS안티가조선소 - WCS오하나 - WCS묻혀진계곡
16강 : WCS오하나 - WCS 묻혀진 계곡 - WCS 안티가조선소
8강 : WCS묻혀진계곡 - WCS안티가조선소 - WCS오하나
4강 : WCS안티가조선소 - WCS오하나 - WCS묻혀진계곡
결승 : WCS오하나 - WCS 묻혀진 계곡 - WCS 안티가조선소
KeSPA 오프라인 예선
16강 : WCS오하나 - WCS 묻혀진 계곡 - WCS 안티가조선소
8강 : WCS묻혀진계곡 - WCS안티가조선소 - WCS오하나
4강 : WCS안티가조선소 - WCS오하나 - WCS묻혀진계곡
결승 : WCS오하나 - WCS 묻혀진 계곡 - WCS 안티가조선소
스타리그 듀얼
듀얼 맵순서
1,2경기: WCS 안티가조선소
승자/패자전: WCS 오하나
최종진출전: WCS 묻혀진계곡
16강 본선
1. WCS 안티가조선소, 2. WCS 여명, 3. WCS 묻혀진 계곡, 4. WCS 오하나
노동환방식으로 맵 순서가 배정됨
1회차 : 1-2-3-4
2회차 : 2-3-4-1
3,4회차 : 3-4-1-2
5,6회차 : 4-1-2-3
리그 BGM
스타리그 듀얼 오프닝멘트 : LAVETT - Can't You Hear Me
스타리그 듀얼 선수소개 : P.O.D - On Fire
스타리그 듀얼 오프닝 : Daft Punk - Touch It / Technological
스타리그 듀얼 경기종료후 : LAVETT - It's Not Over
조지명식 오프닝 : Prodigy - Funky Shit
스타리그 오프닝멘트 : Call Me No One - The World Is Dead
스타리그 개막전 선수소개, 최근 10경기 : Everyone Dies In Utah - You're Now Manually Breathing
스타리그 선수소개 : Call Me No One - Thunderbird
스타리그 오프닝 : Killing Age - Out Of This
스타리그 경기시작전 : Throw The Fight - Beautiful
스타리그 경기종료후 : Call Me No One - Whatever Happened
스타리그 승자인터뷰 : LAVETT - Hold On
스타리그 엔딩멘트 : Throw The Fight - Run Away
결승전 엔딩영상 : 델리스파이스 - 챠우챠우
스타리그 예선
비KeSPA (GSL / 아마추어 / 외국인) 예선 조별 본선 진출자
KeSPA 예선 조별 본선 진출자
스타리그 듀얼
비KeSPA 듀얼 : GSL과 해외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쌓은 4명에게 시드를 부여한다.
KeSPA 듀얼 : 지난 시즌 16강 진출에 성공했지만, 4강에서 결승 진출에 실패한 2명의 선수들이 시드를 받게 된다.
진출자 목록
본선 진출자 분포
‘*’은 16강 시드 진출자이다
비KeSPA 소속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진출자 명단
종족별 분포
테란(2) - 정종현, 이정훈
저그(2) - 박수호, 임재덕
프로토스(4) - 장민철, 김학수, 원이삭, 강초원
팀별 분포
LG-IM (2) - 정종현, 임재덕
프라임 (1) - 이정훈
MVP (1) - 박수호
SK게이밍 (1) - 장민철
프나틱 (1) - 김학수
스타테일 (1) - 원이삭
NS호서 (1) - 강초원
KeSPA(협회) 소속 옥션 스타리그 2012 진출자 명단
종족별 분포(*표는 스타리그 시드)
테란(4) - *정명훈, 전태양, 이영호, 김성현
프로토스(4) - *허영무, 신재욱, 정윤종, 도재욱
저그 진출 실패
팀별 분포(*표는 스타리그 시드)
웅진 (1) - 신재욱
SK텔레콤 (3) - *정명훈, 정윤종, 도재욱
제8게임단 (1) - 전태양
KT (1) - 이영호
STX (1) - 김성현
삼성전자 (1) - *허영무
듀얼 토너먼트
조
Match1
Match2
승자전
패자전
최종전
A조
정종현
황도형
김학수
권태훈
정종현
김학수
황도형
권태훈
정종현
권태훈
B조
박수호
강초원
강동현
변현우
박수호
강동현
강초원
변현우
강동현
강초원
C조
장민철
최종환
원이삭
이준
장민철
원이삭
최종환
이준
장민철
이준
D조
임재덕
서성민
이정훈
정승일
임재덕
이정훈
서성민
정승일
임재덕
정승일
E조
김민철
정윤종
이신형
신재욱
정윤종
신재욱
김민철
이신형
정윤종
이신형
F조
김명운
김도우
도재욱
전태양
도재욱
김명운
김도우
전태양
김명운
전태양
G조
이영호
이병렬
김성현
윤지용
이영호
김성현
이병렬
윤지용
김성현
이병렬
16강
출전 선수
종족
명
이름
테란
6
김성현 이영호 이정훈 전태양 정명훈 정종현
저그
2
박수호 임재덕
프로토스
8
강초원 김학수 도재욱 신재욱 원이삭 장민철 정윤종 허영무
본경기
16강 조지명식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여섯 경기를 치르게 된다.
대회 결과
우승: 정윤종 , 준우승: 박수호 , 3위: 장민철 , 4위: 김성현
특이사항
기존의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기반의 스타리그를 종료하고 개최되는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기반으로 치러지는 처음이자 마지막 스타리그.
택뱅리쌍 전원 4강에 진출 실패.이는 진에어 스타리그 2011 이후 2시즌만이다.
이번 스타리그는 온게임넷 최초의 스타크래프트 II 기반의 스타리그이므로, Kespa 협회선수들과 기존 스타2선수들의 실력차이를 고려하여 Kespa 협회선수들의 실력을 보호할 목적으로 예선전을 분리하여 진행함.
로고 변경(2003년 8월 1일부터 쓰인 기존의 스타리그 로고 색인 빨간색에서 S자는 빨간색이 섞여있는 빨간바탕의 하얀색으로, 나머지 글자는 하안색에서 빨간색으로 반전되는 색이며, 글씨체가 약간 굵어짐)
택뱅리쌍 중 듀얼 시드를 받아 유일하게 예선을 통과한 이영호 를 제외하고 김택용 , 송병구 , 이제동 은 Kespa 예선에서 떨어졌다.
신예선수들의 대부분이 스타2 리그 예선전을 통과하였다. 반면 김대엽, 신상문, 김정우, 신노열, 조성호 등 프로리그에서 활약중인 선수들의 대부분은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도재욱, Batoo 스타리그 2008 이후 4년 만에 스타리그 16강 진출.
이영호 14시즌 연속 스타리그 진출로 최다 진출 기록 단독 갱신.
저그 종족 단 2명 스타리그 진출. (임재덕, 박수호)
이번 스타리그는 Tving 스타리그 2012 우승자와 준우승자인 허영무 , 정명훈 은 각각 3위(C조),4위(D조) 시드권자와 자신의 대결상대를 지명할 권리를 갖음.
CJ엔투스 소속 프로게이머 전원 스타리그 진출 실패.
4강과 결승전이 7전 4선승제로 변경됨.
EVER 스타리그 2007 이후 5년 만에 3,4위전 부활.
기존 8월 28일 2경기로 열릴 예정이었던 김학수 vs 김성현의 경기가 김학수의 MLG 대회 참가관계로 29일로 미뤄졌다가 태풍 볼라벤의 영향으로 항공편이 계속 연착되어 제시간에 도착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어 9월 11일로 재연기되고 29일 2경기로 펼쳐질 예정이었던 정명훈 vs 임재덕의 경기가 28일 2경기로 편성됨.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이후 10년 만에 프로게이머가 등장하지 않는 오프닝이 쓰임.
3시즌만에 디펜딩 챔피언이 16강에서 탈락.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의 우승자인 정명훈과 진에어 스타리그 2011 의 우승자인 허영무는 모두 그 다음 시즌 결승에 진출했다.)
준디펜딩 챔피언 정명훈 4시즌만에 스타리그 16강에서 탈락. (그 전 3시즌은 모두 결승에 진출해서 우승-준우승-준우승의 성적을 거뒀다.)
GSL 최초 4회 우승자 정종현 스타리그 16강에서 탈락.
최초의 KESPA 와 E스포츠연맹 의 5전 3선승재 대결. (8강1경기 (정윤종 대 원이삭 ))
KESPA 진영 시드획득 및 결승진출.
정윤종 양대리그(스타리그 , GSL )시드 획득.
EVER 스타리그 2007 이후 이영호 , 정명훈 테란 이후 새로운 테란 4강 진출. (김성현 )
이영호 가 테테전 최초 역스윕을 당함.
이영호 택뱅리쌍중 유일하게 스타2리그에서 8강에 진출한 선수 2014년 9월 현재까지 이기록 안깨짐
E스포츠연맹 진영 시드획득 및 결승진출.
KeSPA 의 선수 와 e스포츠연맹 의 선수가 결승전을 치루게 된다.
정윤종 첫 스타리그 결승 진출 및 스타리그 최초 7전제 리버스 스윕.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의 이제동 이후 2년 만에 저그 결승진출. (박수호 )
결승전 선수들이 모두 로열로더 후보로써 치러지는 결승.
스타리그 사상 최초 리그 한번에 두 번 역스윕 당함. (김성현 )
SKT T1 창단 이후 스타리그 프로토스 첫 우승. (박용욱 은 오리온 시절)
브루드워 기반 스타리그 포함 프로토스 주종 선수 3시즌 연속 우승.
정윤종 스타크래프트2로 치러지는 첫 스타리그 우승.
정윤종 프로토스 최초로 스타리그에서 저그를 상대로 우승. (다른 사례로, 2007년 MSL에서 김택용 이 곰TV MSL Season 1 결승에서 3:0으로 승리를 거둔 3.3 혁명이 있다.)
프로토스 종족 3연속 우승. (진에어 스타리그 2011 과 Tving 스타리그 2012 에서 허영무 가 2연속 우승 후 정윤종 이 이 대회에서 우승)
온게임넷에서 독자적으로 치러진 마지막 스타리그. (차기시즌부터 블리자드 주관의 WCS KOREA 스타리그로 명칭 변경)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와 같이 역대 스타리그 역사상 결승전 최소관중. (700명)
e스포츠 연맹의 스타리그 불참 선언
2012년 5월 3일 에 한국e스포츠협회 와 e스포츠 연맹, 온게임넷 과 곰TV 는 서로의 상생을 위해 비전 선포식을 가졌었다. 이후 GSL 을 주최하는 방송사인 곰TV 에서는 2012년 세 번째로 치러지는 GSL 의 참가 여부를 한국e스포츠협회 에 물었으나 한국e스포츠협회 에서는 선수보호와 촉박한 일정으로 인해 참가를 거부했으며 2012년 네 번째로 치러지는 GSL 부터 참가하기로 했었다. 그러나 2012년 8월 23일 한국e스포츠협회 에서 네 번째로 치러지는 GSL 도 참가를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1] 이에 반발한 e스포츠 연맹은 다음 날인 2012년 8월 24일 에 한국e스포츠협회 에 소속되지 않고 16강에 진출해있었던 임재덕 , 정종현 , 이정훈 , 박수호 , 장민철 , 원이삭 , 강초원 의 7명의 선수[ 2] 와의 합의 하에 옥션 스타리그 16강에 참가하지 않으며, 한국e스포츠협회 에서 산하 선수들이 GSL 에 지속적으로 참가하게 하겠다고 밝히기 전까지 e스포츠 연맹 선수들의 스타리그 참가를 유보하겠다고 밝혔다.[ 3] 같은 날 한국e스포츠협회 에서는 스타리그의 파행을 막기 위해 2012년 에 다섯 번째로 치러지는 GSL 부터 참가를 하겠다고 밝혔으나[ 4] 다음 날인 2012년 8월 25일 에 e스포츠 연맹과 불참을 선언했던 선수들은 불참의 입장을 고수하겠다고 밝히면서 곰TV측에 2012년 네 번째로 치러지는 GSL 예선 참가신청 날짜의 연기를 요청했다.[ 5] 8월 27일 블리자드 배틀넷 커뮤니티 공지사항에 의하면 한국e스포츠협회 선수들이 GSL 시즌4 예선에 참가하게 되면서 e스포츠 연맹도 스타리그 출전 유보를 철회하여 예정대로 개막할 것이라고 밝혔다.[ 6]
각주
외부 링크
온게임넷 스타리그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자유의 날개 기반의 유일한 스타리그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2012.07.16 ~ 2012.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