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에는 은하까지의 거리가 불과 2.4Mpc ( 7.8Mly )인 것으로 여겨졌는데,[4] 2008년 허블의 이미지를 연구한 과학자들에 의하여 그 거리는 약 1,1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것으로 계산 되었다. 이는 이전에 생각된 것보다 약 400만 광년 더 먼 것으로 이는 이 은하가 IC 342 은하군에 속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2][5]
NGC 1569는 거대한 폭발적인 항성 생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 은하에서는 지난 1억 년 동안 은하수보다 약 100배 빠른 속도로 별을 형성했다.[5] 이 은하에는 서로 다른 역사를 가진 두 개의 눈에 띄는 초성단이 포함되어 있는데,[3][7] 두개의 초성단에서는 모두 간헐적인 항성 형성이 있었다. 초성단 A는 은하의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두 개의 근접한 성단인 'NGC 1569 A1' 및 'NGC 1569 A2'로 구성되어 있다.[8] 여기에는 오래된 붉은 별(NGC 1569 A2에서)뿐만 아니라,[7][9] 5백만 년 전에 형성된 울프-레이에별 등의 젊은 별들도(NGC 1569 A1에서) 포함되어 있다. 은하 중심 근처에 위치한 초성단 B에는 적색 거성 및 적색 초거성의 오래된 항성들이 포함되어 있다.[3][7][9] 이 두 성단 모두 우리 은하(은하수)에 있는 성단의 질량(대략 (6-7) × 10 5태양 질량[2] )과 동일한 질량을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상대적으로 나이가 어린(약 200만~10억 년) 작은 구상 성단이나 대마젤란 성운의 R136과 비슷한 질량을 가진 수많은 작은 성단도 확인되었다.[3] 이러한 결과는 대마젤란 은하 및 NGC 1705와 같은 다른 왜소은하의 결과와 함께 왜소은하의 별 형성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일련의 짧고 거의 즉각적인 폭발로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NGC 1569의 중심 부분. 중앙 왼쪽에는 두 개의 초성단 NGC 1569 A1과 NGC 1569 A2가 보인다.
은하계에서 생성된 수많은 초신성과 강한 항성풍에 의하여 이온화된 수소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 최대 3,700광년 및 380 광년 크기의 필라멘트와 거품이 생성되었으며, 이들은 대형 망원경으로 촬영한 이미지에서 눈에 띄게 나타난다.[5]
NGC 1569 항성 폭발은 IC 342 군의 다른 은하, 특히 근처의 중성 수소 구름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촉발된 것으로 여겨진다.[5][10] 2013년 연구에서는 이 은하를 IC 342 및 왜소은하 UGCA 92 (아래 참조)와 연결하는 조석 꼬리(tidal tail)의 존재를 제안했는데 그 성질은 불분명하고 이것이 실제로는 우리 은하 내의 구조일 수도 있다.[11]
청색 편이
NGC 1569의 스펙트럼은 청색 편이로 되어 있다.[1] 이것은 은하가 지구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대부분의 다른 은하의 스펙트럼은 우주 팽창으로 인해 적색 편이로 되어 있다.
위성 은하와의 거리 및 상호 작용
왜소 불규칙 은하인 UGCA 92는 종종 NGC 1569의 위성 은하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 위성 은하가 겪고 있는 항성 폭발과의 관계는 불분명하다. 일부 저자는 UGCA 92에 의하여 촉발되지 않았다고 주장하지만,[12] 다른 저자는 NGC 1569와 상호 작용하여 조석 꼬리와 중성 수소의 여러 필라멘트로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 구조가 그들과 연관되어 있는지 아니면 실제로 은하수 내에 있는지, 이 두 은하와 관련이 없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11]
↑ 가나다Grocholski, Aaron J.; Aloisi, Alessandra; van der Marel, Roeland P.; Mack, Jennifer 외 (2008년 10월 20일). “A New Hubble Space Telescope Distance to NGC 1569: Starburst Properties and IC 342 Group Membership”.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686 (2): L79–L82. arXiv:0808.0153. Bibcode:2008ApJ...686L..79G. doi:10.1086/592949.
↑Makarova, L. N.; Karachentsev, I. D. (2003). “On the Distance to Nearby Dwarf Galaxy NGC 1569”. 《Astrophysics (English Translation of Astrofizika)》 46 (2): 144–150. Bibcode:2003Ap.....46..144M. doi:10.1023/A:1024055702766.
↑G. de Marchi; M. Clampin; L. Greggio; C. Leitherer 외 (1997). “The Structure of the Super--Star Clusters in NGC 1569 from HST WFPC2 Images”.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479 (1): L27–L30. Bibcode:1997ApJ...479L..27D. doi:10.1086/310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