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 언급된 식물들 중 하나인 플라밍고 꽃(Flamingo Flower). NASA 공기 청정 연구 [ 1] 는 NASA 와 ALCA 에 의해 주도 되었다. 그 결과 일반 실내 식물들 중 일부 특정 식물들은 자연적인 방법으로 벤젠 , 포름알데히드 및 트리클로로에틸렌 같은 공기 내에 존재하는 부유독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새집증후군 영향과 같은 유해 물질 제거에도 도움이 된다.
첫 번째 목록에 공기 여과 식물(air-filtering plants) 은 1989년에 출판된 NASA 의 공기 청정 연구의 일부와 엮어서 출판되으며[ 2] [ 3] [ 4] , 해당 연구는 우주정거장의 공기를 정화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대다수의 식물들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공기를 생성하듯이, 이러한 식물들 또한 상당한 양의 벤젠 , 포름알데히드 및 트리클로로에틸렌을 제거한다. 두번째와 세번째 목록들은 B.C Wolverton 의 책[ 5] 과 종이[ 6] 에서 인용되었으며, 특정 화학 물질 제거에 초점을 두고 있다.
NASA 연구원들은 효율적인 공기 청정 작업을 위해서는 적어도 식물 하나 당 100 평방 피트 의 집 또는 사무실 공간이 가장 적당하다고 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미생물과 토양을 혼합해서 심은 화분에서, 해당 식물이 공기 내에 존재하는 벤젠, 그리고 몇 가지 종의 식물들도 벤젠의 제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7]
공기 정화 식물들의 목록
식물 이름
벤젠 [ 2]
폼알데하이드 [ 2] [ 5]
트리클로로에틸렌[ 2]
자일렌 & 톨루엔[ 6]
암모니아 [ 6]
독성 유무
(애완동물)[ 8]
피닉스야자 (Phoenix roebelenii )
아니오
예
아니오
예
아니오
무해[ 9]
아레카야자 (Dypsis lutescens )
아니오
예
아니오
예
아니오
무해[ 10]
보스턴고사리 (Nephrolepis exaltata 'Bostoniensis')
아니오
예
아니오
예
아니오
무해[ 11]
네프롤레피스 오블리테라타 (Nephrolepis obliterata )
아니오
예
아니오
예
아니오
무해[출처 필요 ]
양담쟁이 (Hedera helix )
예
예
예
예
아니오
유해[ 12]
개맥문동 (Liriope spicata )
아니오
예
아니오
예
예
무해[ 13]
접란 (Chlorophytum comosum )
아니오
예
아니오
예
아니오
무해[ 14]
스킨답서스 , 골든포토스 (Epipremnum aureum )
예
예
아니오
예
아니오
유해[ 15]
스파티필럼 (Spathiphyllum 'Mauna Loa' aka Peace lily)
예
예
예
예
예
유해[ 16]
Flamingo lily (Anthurium andraeanum )
아니오
예
아니오
예
예
유해[ 17]
Chinese evergreen (Aglaonema modestum )
예
예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유해
Bamboo palm (Chamaedorea seifrizii )
아니오
예
아니오
예
아니오
무해[ 18]
Broadleaf lady palm (Rhapis excelsa )
아니오
예
아니오
예
예
무해[ 19]
산세베리아 Variegated snake plant, mother-in-law's tongue (Sansevieria trifasciata 'Laurentii')
예
예
예
예
아니오
유해[ 20]
Heartleaf philodendron (Philodendron cordatum )
아니오
예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유해[ 21]
Selloum philodendron
(Philodendron bipinnatifidum )
아니오
예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유해[출처 필요 ]
Elephant ear philodendron (Philodendron domesticum )
아니오
예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유해[출처 필요 ]
드라세나 마지나타 Red-edged dracaena (Dracaena marginata )
예
예
예
예
아니오
유해
Cornstalk dracaena (Dracaena fragrans 'Massangeana')
예
예
예
아니오
아니오
유해
벤자민 (Ficus benjamina akaWeeping fig )[ 22]
아니오
예
아니오
예
아니오
유해[ 23]
Barberton daisy (Gerbera jamesonii )
예
예
예
아니오
아니오
무해[ 24]
Florist's chrysanthemum (Chrysanthemum morifolium )
예
예
예
예
예
유해[ 25]
고무나무 (Ficus elastica aka Rubber plant)
아니오
예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유해[ 26]
덴드로비움 (Dendrobium spp. aka Dendrobium orchids)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예
아니오
무해[출처 필요 ]
Dumb canes (Dieffenbachia spp.)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예
아니오
유해[ 27]
King of hearts (Homalomena wallisii )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예
아니오
유해
Moth orchids (Phalaenopsis spp.)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예
아니오
무해[ 28]
알로에 베라 (Aloe vera )
예
예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유해[ 29]
자넷 크레이그 (Dracaena deremensis "Janet Craig ")
예
예
예
아니오
아니오
유해[ 30]
와네키 (Dracaena deremensis "Warneckei")
예
예
예
아니오
아니오
유해[ 30]
바나나 (Musa Oriana aka Banana )
아니오
예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무해[ 31]
나뭇잎
본 연구의 목록에 언급된 대다수의 식물들은 열대 또는 아열대 환경에서 서식하는 식물들이다. 제한된 양의 햇빛 만으로도 자라는 이 식물들의 특성 상, 이들의 나뭇잎에 있는 엽성분들은 집안 실내의 적은 빛 만으로도 생육에는 큰 문제가 없다.
같이 보기
Phytoremediation
E ichhornia crassipes
Green wall
Rain garden
Dendrobium
Dracaena reflexa
indoor air quality
각주
↑ (보고서).
↑ 가 나 다 라 Pottorff, L. Plants "Clean" Air Inside Our Homes.
↑ Wolverton, B. C., et al. (1984).
↑ Wolverton, B. C., et al.
↑ 가 나 Wolverton, B. C. (1996) How to Grow Fresh Air .
↑ 가 나 다 Wolverton, B. C. and J. D. Wolverton. (1993).
↑ Orwell, R.; Wood, R.; Tarran, J.; Torpy, F.; Burchett, M. (2004). “Removal of Benzene by the Indoor Plant/Substrate Microcosm and Implications for Air Quality” . 《Water, Air, & Soil Pollution》 157 (1-4): 193–207. doi :10.1023/B:WATE.0000038896.55713.5b .
↑ ASPCA
↑ ASPCA
↑ ASPCA
↑ ASPCA
↑ ASPCA
↑ ASPCA
↑ ASPCA
↑ ASPCA
↑ ASPCA
↑ ASPCA
↑ ASPCA
↑ [1]
↑ ASPCA
↑ ASPCA
↑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 ASPCA
↑ ASPCA
↑ ASPCA
↑ [2]
↑ ASPCA
↑ ASPCA
↑ ASPCA
↑ 가 나 ASPCA
↑ ASPCA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