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to: share facebook share twitter share wa share telegram print page

DDH-971 광개토대왕

DDH-971 광개토대왕

순항중인 DDH-971 광개토대왕
개요
함명 광개토대왕
함종 구축함
함번 DDH-971
제작 대우조선해양
운용  대한민국 해군
진수 1996년 10월 27일
배치 1998년 7월 24일
특징
배수량 3,200t(만재 3,900t)
전장 135.4m
선폭 14.2m
흘수 4.2m
추진 CODOG GE LM2500PFMLGO& MTU12V
속력 30노트
항속거리 4,500해리
승조원 286명
무장 RGM-84D 하푼 4연장 발사기 2기
AIM-7 스패로우 16기
탐지 장비 레이시온 AN/SPS-49(V) 2D 레이다
항공장비 Mk.99A 슈퍼링크스×2

DDH-971 광개토대왕대한민국 해군 소속의 3,200톤급 구축함이고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1번함이다. 광개토대왕함이 건조되기 전 대한민국 해군이 보유한 최대의 대한민국에서 건조된 군함이었던 울산급 호위함(FF급 1,500t)의 2배 이상의 규모로 대한민국 해군의 작전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대한민국 해군 1함대에 소속되어 있으며, 특이하고 Y자 연돌을 채택한 함이다.

진수 및 취역

1996년 10월 27일 대우중공업 옥포조선소에서 열린 광개토대왕함 진수식에는 김영삼 대통령과 김우중 대우그룹 대회장이 참석했으며, 영부인 손명순 여사는 대모 역할을 했다.[1] 1998년 7월 24일 실전 배치되었다.[2]

사건/사고

2018년 12월 20일 오후 3시, 동해의 독도 북동쪽 100km 해상에서 북한 어선을 구조하는 과정에서, 광개토대왕함이 빠르게 접근한 일본 해상자위대 항공집단 제4항공군(ja:第4航空群) 소속 가와사키 P-1 초계기에 화기통제 레이다의 락온을 했다는 주장이 일본으로부터 제기되었다.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해상은 한일어업협정에서 독도 중간수역으로 설정한 대화퇴 어장구역이다. 일본 초계기는 락온 경보가 울리자 바로 기수를 돌렸지만 몇 분간 계속 락온이 지속되었다.

국방부 측에서는 MW-80은 당시 특정 목표를 지향해서 레이다를 쏘는 조준 모드가 아니라 360도 전방위 범위를 탐색하는 탐색 모드로 작동 중이었으며, 근접하는 초계기를 식별하기 위해 STIR-180에 장착된 TV카메라만 운용하였다 밝혔다.[3]

제원

각주

  1. 류근찬 앵커 (1996년 10월 28일). “국산구축함 시대”. 《KBS 9시뉴스》. 
  2. “해군, 한국형구축함 `광개토대왕함' 인수-곧 실전배치”. 《연합뉴스》. 1998년 7월 24일. 
  3. 김청중 특파원 (2018년 12월 23일). '적반하장' 日, 군사정보 왜곡해 한국때리기 [특파원+]”. 《세계일보》.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