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차례![]() 2: 어긋나기(호생) 3: 돌려나기(윤생) 잎차례(영어: phyllotaxis)는 식물의 줄기에 잎이 달리는 순서를 말한다. 한자어로 엽서(葉序)라고도 한다. 잎은 줄기의 둘레에 규칙적으로 배열되는데, 그 규칙성은 다양하게 존재하며, 식물 종류에 따라 일정한 경향이 있다. 마주나기대생(opposite)이라 부르기도 한다. 잎이 각 마디마다 2장씩 마주붙어 나는 경우로, 식나무, 아카시아, 단풍나무 등 많은 식물의 잎차례가 이에 속한다. 매우 규칙적으로 2장씩의 잎이 마디마다 마주나게 붙으므로, 뚜렷한 4개의 직렬선을 볼 수 있다. 뭉쳐나기뭉쳐나기의 예에는 로제트(Rosette)가 있다. 주로 초본 식물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그 예에는 서양민들레, 민들레, 냉이, 꽃다지 등이 있다. 특히나 겨울이나 초봄에 로제트형 식물(애기똥풀, 달맞이꽃, 개망초, 망초, 봄망초, 지칭개, 뽀리뱅이, 고들빼기)을 쉽게 관찰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추운 겨울에 추위에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고자 하기 위해 지면과 바짝 붙은 형태로 진화한 것이며, 이 덕분에 겨울에도 광합성을 통하여 영양분을 얻을 수 있다. 덕분에 모은 영양분으로 봄에서 여름에 활발한 성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앞서 말한 식물(애기똥풀, 달맞이꽃, 개망초, 망초, 봄망초, 지칭개, 뽀리뱅이, 고들빼기)는 겨울을 제외한 계절에는 대부분 다른 잎차례로 한살이를 보낸다. 어긋나기호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개의 마디에 1장씩의 잎이 어긋나게 붙는 경우를 말하며, 감나무, 무궁화, 장미 등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비교적 단순한 잎의 배열을 모식화하여 발생한 순으로 숫자를 붙여보면 n번째의 잎과 n-l번째 잎과의 사이 각도는 어디나 거의 일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각도를 '개도(開度)'라고 한다. 개도는 동일한 식물에서도 발달 시기 등에 의해 달라지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식물의 종에 따라 일정하다. 돌려나기윤생이라 부른다.(whorled, verticillate) 1개의 마디에 3장 이상의 잎이 돌려붙는 잎차례를 말하며, 검정말, 갈퀴덩굴, 꼭두서니 등의 식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꽃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꽃받침이나 꽃잎을 일종의 잎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대부분의 꽃의 배열(꽃차례)은 돌려나기 배열을 취하고 있다.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