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to: share facebook share twitter share wa share telegram print page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해석학일반위상수학에서,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Bolzano-Weierstraß定理, 영어: Bolzano–Weierstrass theorem)는 유계 실수 수열수렴 부분 수열이 항상 존재한다는 정리이다.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는 수열의 균등 연속성을 증명하거나 반례를 들 때 도구로 사용한다.

정의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균등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점렬 콤팩트 공간이다. 즉, 모든 점렬수렴하는 부분 점렬이 존재한다.
  •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
    • 점렬 완비 균등 공간(영어: sequentailly complete uniform space)이다. 즉, 모든 코시 점렬은 수렴한다.
    • 점렬 완전 유계 공간(영어: sequentially totally bounded space, sequentially precompact space)이다. 즉, 모든 점렬은 코시 부분 점렬이 존재한다.

증명:

점렬 콤팩트 공간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모든 코시 점렬은 수렴 부분 점렬을 가지므로, 수렴한다. 또한, 모든 점렬은 수렴 부분 점렬을 가지며, 이는 물론 코시 부분 점렬이다.

가 점렬 완비 균등 공간이자 점렬 완전 유계 공간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모든 점렬은 코시 부분 점렬을 가지며, 이 코시 부분 점렬은 수렴한다. 즉, 모든 점렬은 수렴 부분 점렬을 가진다.

유클리드 공간

유클리드 공간 부분 집합 위에는 표준적인 균등 공간 구조가 존재한다. 이 경우,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또한,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따라서, 유클리드 공간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특히, 유클리드 공간유계 점렬은 항상 수렴하는 부분 점렬을 갖는다.

직접적인 증명:

실수에 대한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유계 닫힌집합 ⇒ 점렬 콤팩트 공간: 속 임의의 유계 점렬

의 수렴 부분 점렬을 찾으면 충분하다. 은 유계 실수 수열이므로, 어떤 실수 로 수렴하는 부분 수열 이 존재한다 (순증가 함수). 마찬가지로, 은 유계 실수 수열이므로, 어떤 실수 로 수렴하는 부분 수열 이 존재한다 (순증가 함수). 이 경우, 로 수렴한다. 이를 반복하면, 결국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일련의 순증가 함수

와 일련의 실수 를 얻는다.

  • 에 대하여, 로 수렴한다.

특히, 의 부분 점렬이며, 으로 수렴한다.

점렬 콤팩트 공간 ⇒ 유계 집합: 만약 유계 집합이 아니라면,

속의 점렬 이 존재하며, 이는 수렴 부분 점렬을 갖지 않으므로, 점렬 콤팩트 공간이 아니다.

점렬 콤팩트 공간 ⇒ 닫힌집합: 만약 점렬 콤팩트 공간이며, 속의 점렬 이 어떤 으로 수렴한다면, 은 어떤 로 수렴하는 부분 점렬을 가지며, 자명하게 이다. 즉, 닫힌집합이다.

실수

1차원 유클리드 공간실수선 이다.

실수선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특히, 모든 유계 실수 수열은 항상 수렴하는 부분 수열을 갖는다.[1]:102

직접적인 증명:

단조 부분 수열 정리에 따르면, 실수 수열은 항상 단조 부분 수열을 갖는다. 이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임의의 실수 수열 이 주어졌을 때,

라고 하자. 즉, 다음에 오는 모든 항보다 큰의 항의 지표의 집합이다. 만약 무한 집합이며,

의 원소라면, 은 단조 부분 수열이다. 만약 유한 집합이라면,

인 자연수 을 고르자 (라면 으로 놓는다). 임의의 에 대하여 이므로,

가 존재하며, 은 단조 부분 수열이다.

실수에 대한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는 단조 부분 수열 정리와 단조 수렴 정리를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임의의 유계 실수 수열 이 주어졌을 때, 이는 단조 부분 수열 을 가지며, 이는 유계 수열이다. 단조 수렴 정리에 따라, 이는 수렴한다.

역사

보헤미아의 수학자 베르나르트 볼차노가 처음 증명하였다. 이후 독일의 수학자 카를 바이어슈트라스가 독립적으로 재증명하였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1. Robert G. Bartle, Donald R. Sherbert, 강수철 역, 《실해석학개론》, 범한서적주식회사, 2006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