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학 과 일반위상수학 에서,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Bolzano-Weierstraß定理, 영어 : Bolzano–Weierstrass theorem )는 유계 실수 수열 의 수렴 부분 수열 이 항상 존재한다는 정리이다.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는 수열의 균등 연속성을 증명하거나 반례를 들 때 도구로 사용한다.
정의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에 따르면, 임의의 균등 공간
(
X
,
U
)
{\displaystyle (X,{\mathcal {U}})}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점렬 콤팩트 공간 이다. 즉, 모든 점렬 은 수렴 하는 부분 점렬 이 존재한다.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
점렬 완비 균등 공간(영어 : sequentailly complete uniform space )이다. 즉, 모든 코시 점렬 은 수렴한다.
점렬 완전 유계 공간(영어 : sequentially totally bounded space, sequentially precompact space )이다. 즉, 모든 점렬은 코시 부분 점렬이 존재한다.
(
X
,
U
)
{\displaystyle (X,{\mathcal {U}})}
가 점렬 콤팩트 공간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모든 코시 점렬 은 수렴 부분 점렬을 가지므로, 수렴한다. 또한, 모든 점렬은 수렴 부분 점렬을 가지며, 이는 물론 코시 부분 점렬이다.
(
X
,
U
)
{\displaystyle (X,{\mathcal {U}})}
가 점렬 완비 균등 공간이자 점렬 완전 유계 공간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모든 점렬은 코시 부분 점렬을 가지며, 이 코시 부분 점렬은 수렴한다. 즉, 모든 점렬은 수렴 부분 점렬을 가진다.
유클리드 공간
유클리드 공간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의 부분 집합
X
⊆
R
n
{\displaystyle X\subseteq \mathbb {R} ^{n}}
위에는 표준적인 균등 공간 구조가 존재한다. 이 경우,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또한,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따라서, 유클리드 공간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의 부분 집합
X
⊆
R
n
{\displaystyle X\subseteq \mathbb {R} ^{n}}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특히, 유클리드 공간 속 유계 점렬 은 항상 수렴하는 부분 점렬을 갖는다.
실수에 대한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유계 닫힌집합 ⇒ 점렬 콤팩트 공간: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속 임의의 유계 점렬
(
(
x
k
,
1
,
x
k
,
2
,
…
,
x
k
,
n
)
)
k
∈
N
⊆
R
n
{\displaystyle ((x_{k,1},x_{k,2},\ldots ,x_{k,n}))_{k\in \mathbb {N} }\subseteq \mathbb {R} ^{n}}
의 수렴 부분 점렬을 찾으면 충분하다.
(
x
k
,
1
)
k
∈
N
{\displaystyle (x_{k,1})_{k\in \mathbb {N} }}
은 유계 실수 수열이므로, 어떤 실수
x
1
∈
R
{\displaystyle x_{1}\in \mathbb {R} }
로 수렴하는 부분 수열
(
x
k
1
(
j
)
,
1
)
j
∈
N
{\displaystyle (x_{k_{1}(j),1})_{j\in \mathbb {N} }}
이 존재한다 (
k
1
:
N
→
N
{\displaystyle k_{1}\colon \mathbb {N} \to \mathbb {N} }
은 순증가 함수 ). 마찬가지로,
(
x
k
1
(
j
)
,
2
)
j
∈
N
{\displaystyle (x_{k_{1}(j),2})_{j\in \mathbb {N} }}
은 유계 실수 수열이므로, 어떤 실수
x
2
∈
R
{\displaystyle x_{2}\in \mathbb {R} }
로 수렴하는 부분 수열
(
x
k
2
(
j
)
,
2
)
j
∈
N
{\displaystyle (x_{k_{2}(j),2})_{j\in \mathbb {N} }}
이 존재한다 (
k
1
:
N
→
k
1
(
N
)
{\displaystyle k_{1}\colon \mathbb {N} \to k_{1}(\mathbb {N} )}
은 순증가 함수 ). 이 경우,
(
(
x
k
2
(
j
)
,
1
,
x
k
2
(
j
)
,
2
)
)
j
∈
N
{\displaystyle ((x_{k_{2}(j),1},x_{k_{2}(j),2}))_{j\in \mathbb {N} }}
은
(
x
1
,
x
2
)
{\displaystyle (x_{1},x_{2})}
로 수렴한다. 이를 반복하면, 결국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일련의 순증가 함수
k
1
:
N
→
N
{\displaystyle k_{1}\colon \mathbb {N} \to \mathbb {N} }
k
2
:
N
→
k
1
(
N
)
{\displaystyle k_{2}\colon \mathbb {N} \to k_{1}(\mathbb {N} )}
⋮
{\displaystyle \vdots }
k
n
:
N
→
k
n
−
1
(
N
)
{\displaystyle k_{n}\colon \mathbb {N} \to k_{n-1}(\mathbb {N} )}
와 일련의 실수
x
1
,
…
,
x
n
∈
R
{\displaystyle x_{1},\dots ,x_{n}\in \mathbb {R} }
를 얻는다.
각
i
=
1
,
…
,
n
{\displaystyle i=1,\dots ,n}
에 대하여,
(
(
x
k
i
(
j
)
,
1
,
…
,
x
k
i
(
j
)
,
i
)
)
j
∈
N
{\displaystyle ((x_{k_{i}(j),1},\dots ,x_{k_{i}(j),i}))_{j\in \mathbb {N} }}
는
(
x
1
,
…
,
x
i
)
{\displaystyle (x_{1},\dots ,x_{i})}
로 수렴한다.
특히,
(
x
k
n
(
j
)
,
1
,
…
,
x
k
n
(
j
)
,
n
)
j
∈
N
{\displaystyle (x_{k_{n}(j),1},\dots ,x_{k_{n}(j),n})_{j\in \mathbb {N} }}
은
(
(
x
k
,
1
,
x
k
,
2
,
…
,
x
k
,
n
)
)
k
∈
N
{\displaystyle ((x_{k,1},x_{k,2},\ldots ,x_{k,n}))_{k\in \mathbb {N} }}
의 부분 점렬이며,
(
x
1
,
…
,
x
n
)
∈
R
n
{\displaystyle (x_{1},\dots ,x_{n})\in \mathbb {R} ^{n}}
으로 수렴한다.
점렬 콤팩트 공간 ⇒ 유계 집합: 만약
S
⊆
R
{\displaystyle S\subseteq \mathbb {R} }
가 유계 집합 이 아니라면,
x
0
∈
S
{\displaystyle x_{0}\in S}
x
n
+
1
∈
S
∖
B
(
x
0
,
n
)
∖
B
(
x
0
,
d
(
x
n
,
x
0
)
)
{\displaystyle x_{n+1}\in S\setminus B(x_{0},n)\setminus B(x_{0},d(x_{n},x_{0}))}
인
S
{\displaystyle S}
속의 점렬
(
x
n
)
n
∈
N
{\displaystyle (x_{n})_{n\in \mathbb {N} }}
이 존재하며, 이는 수렴 부분 점렬을 갖지 않으므로,
S
{\displaystyle S}
는 점렬 콤팩트 공간 이 아니다.
점렬 콤팩트 공간 ⇒ 닫힌집합: 만약
S
{\displaystyle S}
가 점렬 콤팩트 공간 이며,
S
{\displaystyle S}
속의 점렬
(
x
n
)
n
∈
N
{\displaystyle (x_{n})_{n\in \mathbb {N} }}
이 어떤
x
∈
R
n
{\displaystyle x\in \mathbb {R} ^{n}}
으로 수렴한다면,
(
x
n
)
n
∈
N
{\displaystyle (x_{n})_{n\in \mathbb {N} }}
은 어떤
x
′
∈
S
{\displaystyle x'\in S}
로 수렴하는 부분 점렬을 가지며, 자명하게
x
=
x
′
∈
S
{\displaystyle x=x'\in S}
이다. 즉,
S
{\displaystyle S}
는 닫힌집합 이다.
실수
1차원 유클리드 공간 은 실수선
R
{\displaystyle \mathbb {R} }
이다.
실수선
R
{\displaystyle \mathbb {R} }
의 부분 집합
X
⊆
R
{\displaystyle X\subseteq \mathbb {R} }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특히, 모든 유계 실수 수열은 항상 수렴 하는 부분 수열 을 갖는다.[ 1] :102
단조 부분 수열 정리 에 따르면, 실수 수열은 항상 단조 부분 수열을 갖는다. 이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임의의 실수 수열
(
x
n
)
n
∈
N
{\displaystyle (x_{n})_{n\in \mathbb {N} }}
이 주어졌을 때,
P
=
{
n
∈
N
:
∀
m
>
n
:
x
n
>
x
m
}
{\displaystyle P=\{n\in \mathbb {N} \colon \forall m>n\colon x_{n}>x_{m}\}}
라고 하자. 즉, 다음에 오는 모든 항보다 큰의 항의 지표의 집합이다. 만약
P
{\displaystyle P}
가 무한 집합 이며,
n
0
<
n
1
<
n
2
<
⋯
{\displaystyle n_{0}<n_{1}<n_{2}<\cdots }
가
P
{\displaystyle P}
의 원소라면,
(
x
n
k
)
k
∈
N
{\displaystyle (x_{n_{k}})_{k\in \mathbb {N} }}
은 단조 부분 수열이다. 만약
P
{\displaystyle P}
가 유한 집합 이라면,
n
0
>
max
P
{\displaystyle n_{0}>\max P}
인 자연수
n
0
∈
N
{\displaystyle n_{0}\in \mathbb {N} }
을 고르자 (
P
=
∅
{\displaystyle P=\varnothing }
라면
max
P
=
−
1
{\displaystyle \max P=-1}
으로 놓는다). 임의의
n
≥
n
0
{\displaystyle n\geq n_{0}}
에 대하여
n
∉
P
{\displaystyle n\not \in P}
이므로,
x
n
0
≤
x
n
1
≤
x
n
2
≤
⋯
{\displaystyle x_{n_{0}}\leq x_{n_{1}}\leq x_{n_{2}}\leq \cdots }
인
n
0
<
n
1
<
n
2
<
⋯
{\displaystyle n_{0}<n_{1}<n_{2}<\cdots }
가 존재하며,
(
x
n
k
)
k
∈
N
{\displaystyle (x_{n_{k}})_{k\in \mathbb {N} }}
은 단조 부분 수열이다.
실수에 대한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는 단조 부분 수열 정리와 단조 수렴 정리 를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임의의 유계 실수 수열
(
x
n
)
n
∈
N
{\displaystyle (x_{n})_{n\in \mathbb {N} }}
이 주어졌을 때, 이는 단조 부분 수열
(
x
n
k
)
k
∈
N
{\displaystyle (x_{n_{k}})_{k\in \mathbb {N} }}
을 가지며, 이는 유계 수열이다. 단조 수렴 정리 에 따라, 이는 수렴한다.
역사
보헤미아 의 수학자 베르나르트 볼차노 가 처음 증명하였다. 이후 독일 의 수학자 카를 바이어슈트라스 가 독립적으로 재증명하였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Robert G. Bartle, Donald R. Sherbert, 강수철 역, 《실해석학개론》, 범한서적주식회사, 200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