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to: share facebook share twitter share wa share telegram print page

리투아니아-중화민국 관계

리투아니아-중화민국 관계
리투아니아 및 중화민국의 위치
리투아니아의 국기
리투아니아
중화민국의 국기
중화민국

중화민국 (대만)은 리투아니아와 공식 외교 관계를 맺고 있지 않다. 리투아니아는 중화민국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중국의 유일 합법 정부로 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하는 하나의 중국 정책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년 동안 리투아니아와 대만 간의 관계는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1] 2021년, 대만은 "주리투아니아 대만 대표처"를 개설하였다. 리투아니아는 2022년 대만에 대표부를 개설하였다.[2][3] 리투아니아와 대만 간의 관계 강화는 대만의 사실상 주권을 인정하지 않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강한 반대에 부딪혔다.[4] 특히, 중화인민공화국은 항의의 의미로 리투아니아 주재 대사관을 "임시대리대사" 수준으로 격하하였다.[5] 중화인민공화국과 리투아니아는 이전에 1991년부터 완전한 외교 관계를 유지한 바 있다.

역사

21세기 들어 관계의 온기

2020년 이후, 리투아니아와 대만 간의 관계는 급속히 가까워졌다. 같은 해 4월, 200명의 리투아니아 정치인과 공인들이 리투아니아 대통령에게 대만의 세계보건기구 회원국 가입을 지지할 것을 청원하였다. 이러한 요청은 당시 외교장관 리나스 린케비치우스가 WHO 수장과의 직접 통화에서도 재차 언급하였다.[6] 2020년 6월 19일, 발트 3국 주재 대만 대표 앤디 친은 야당인 조국연합의 초청으로 세이마스에서 연설하였으며, 이는 중국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발트 3국에서 대만 고위 관료가 얻은 가장 높은 공식 발언 무대가 되었다.[7]

리투아니아 자유당의 당 강령에는 대만 (중화민국)의 독립을 완전히 인정할 것을 지지하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며[8], 2020년 리투아니아 총선에서 조국연합과 자유당 등 대만에 우호적인 정당들이 정부에 진입하여 연립정부를 구성하였다. 2021년에는 50명 이상의 리투아니아 정치인들[9], 특히 만타스 아도메나스긴타라스 스테포나비치우스가 참여하여 리투아니아-대만 포럼이 설립되었고, 중국의 "17+1" 프로그램에 대한 불만이 커지는 가운데 리투아니아가 대만에 무역대표부를 개설할 것임이 발표되었다.[10]

2021년 10월, 리투아니아 의회는 대만에 대표부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 개정을 통과시켰다.[11] 2021년 11월 18일, 대만은 리투아니아 빌뉴스에 사실상의 대사관인 "주리투아니아 대만 대표처"를 개설하였다. 이 대표부 명칭은 "타이베이"가 아닌 "대만"을 사용한 것이 주목할 만했지만, 리투아니아 당국은 이 사무소가 외교적 지위를 갖지 않으며 명칭이 국가 승인 의미를 내포하지 않는다고 확인하였고[12][13], 1991년 중화인민공화국의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인정하며 수립한 외교 관계를 위반하지 않았음을 강조하였다.[14] 그러나 중국은 이에 동의하지 않고 빌뉴스 주재 대사를 소환하고[15] 베이징 주재 리투아니아 대사를 추방하였다.[16][17] 2022년 1월 초, 빌뉴스 주재 대만 대표부는 대만 정부가 같은 해 말까지 리투아니아 산업 및 기술 분야에 2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임을 발표하였다.[18][19]

무역 및 문화 협력

리투아니아 주재 대만 대표부

타이베이빌뉴스는 1998년 5월 28일, 자매 도시 관계를 맺었다.[20]

2020년, 리투아니아는 대만으로 3,780만 달러를 수출하였으며 전체 수출의 0.07%를 차지했고, 대만으로부터 9,730만 달러를 수입하여 전체 수입의 0.23%를 기록하였다. 리투아니아의 수출 품목은 주로 담배, 화학제품, 가구와 목재였고, 대만의 수출 품목은 주로 기술과 기계 산업 분야였다.[21]

2021년 9월, 대만 공식 통계에 따르면 대만인들이 리투아니아 사업체에서 진행한 신용카드 거래가 11만 2천 건으로 총 거래액은 8,600만 달러였으며, 리투아니아 은행은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56% 증가했다고 관찰하였다.[22]

기부

대만은 코로나19 범유행 초기 리투아니아에 10만 개의 마스크를 기부하였다. 2021년에는 리투아니아가 대만에 2만 도즈와 추가로 23만 5,900 도즈의 옥스퍼드-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을 기부하였다. 또한 대만의 식품 대기업 아이메이 감사의 표시로 자사 대표 제품인 퍼프 쿠키 2만 1천 개 이상을 리투아니아에 기부하였다.[23]

같이 보기

각주

  1. Andrijauskas, Konstantinas (2021년 1월 13일). “Taiwan and Lithuania ties grow tighter”. 《China Observers》. China Observers.EU. 2021년 3월 22일에 확인함. 
  2. 呂伊萱 (2022년 11월 7일). “立陶宛經創部長宣布「立陶宛貿易代表處」揭牌 台立友好展新頁”. 自由時報. 2022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1월 7일에 확인함. 
  3. “駐臺外國機構”. 中華民國外交部. 2022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1월 7일에 확인함. 
  4. Galbraith, Andrew (2021년 10월 30일). “China warns Lithuania, European officials over Taiwan row”. 《Reuters》. 2021년 11월 14일에 확인함. 
  5. “China downgrades diplomatic relations with Lithuania over Taiwan row”. 《The Guardian》. 2021년 11월 21일. 2021년 12월 12일에 확인함. 
  6. “Lithuania calls on WHO to invite Taiwan to international assembly”. 《lrt.lt》. 2020년 5월 13일. 2021년 3월 23일에 확인함. 
  7. “Chinese ambassador incensed after Taiwan representative speaks in Lithuanian parliament”. 《lrt.lt》. 2020년 6월 23일. 2021년 3월 23일에 확인함. 
  8. “Laisvės partijos” (PDF). 《www.laisvespartija.lt》. 2020. 138쪽. 2021년 3월 23일에 확인함. 
  9. “BNS: Naujiena” (리투아니아어). 《BNS》. 2021년 3월 22일. 2021년 3월 23일에 확인함. 
  10. “Lithuania to open Taiwan trade office, the latest sign of discontent with China by a '17+1' member”. 《South China Morning Post》. 2021년 3월 4일. 2021년 3월 23일에 확인함. 
  11. “Lithuania passes law, giving green light to open Taiwan office - Focus Taiwan” (중국어). 《focustaiwan.tw》. 2021년 10월 28일에 확인함. 
  12. “Taiwan opens representative office in Lithuania”. 《DW》.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13. “URM: taivaniečių atstovybė Vilniuje diplomatinio statuso neturės”. Delfi.lt.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14. “Po Kinijos priekaištų Lietuvai – Šimonytės atsakas: mes laikomės sutarties”. 2021년 12월 10일에 확인함. 
  15. Aboudouh, Ahmed. 'More bark than bite': How China's reprimand over Taiwan falls on deaf ears in Lithuania”. The Independent.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16. Agence France-Presse. “Lithuania ambassador leaving China”. 《www.taipeitimes.com》. Taipei Times. 2021년 8월 12일에 확인함. 
  17. “China downgrades ties with Lithuania over Taiwan”. 《Al Jazeera.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18. “Taiwan to invest $200m in Lithuania to offset Beijing's sanctions” (영어). 《lrt.lt》. 2022년 1월 5일. 2022년 1월 6일에 확인함. 
  19. “Taiwan setting up $200m Lithuania fund amid China row” (영국 영어). 《BBC News》. 2022년 1월 6일. 2022년 1월 6일에 확인함. 
  20. “Taipei City Council-International Sister Cities” (중국어). 《臺北市議會》. 2002년 1월 1일. 2021년 3월 23일에 확인함. 
  21. “Lithuania (LTU) Exports, Imports, and Trade Partners – 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 《OEC》. 2019.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22. “Lietuvos verslas nepastebėjo taivaniečių milijonų”. 《15min.lt》. 2021년 9월 14일. 
  23. “Taiwan company plans to send puffs to Lithuania following vaccine donation”. 《Central News Agency (Taiwan).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