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to: share facebook share twitter share wa share telegram print page

금주법

의학용 알콜음료 사용을 허가하는 처방전

금주법(禁酒法, the prohibition law)은 술의 제조, 판매·운반·수출입을 금지하는 법이다. 가장 유명한 것은 미국의 금주법이다.

한국의 금주법

백제

백제에서 민간에서 사사로이 술 빚는 것을 금지했다는 기록[1]이 있다.

고려

고려 시대에서 나라에서 민간과 절에서 사사로이 술 빚는 것을 금지한 기록[2]이 여러 건 보인다.

조선

조선에서 금주령을 내리는 까닭은 주로 경제 문제 때문이었다. 조선에서는 쌀로 술을 빚었기 때문에 쌀의 소비를 줄여 식량 사정을 악화되지 않게 하려고 금주령을 내렸다. 조선 영조 시대의 금주법[3]이 그 예다. 가뭄 때문에 술 제조를 하지 못하게 한 사례도 있다.[4]

미국의 금주법

같이 보기

각주

  1. 《삼국사기》 권23, 〈백제본기〉1, 다루왕 11년(38)
  2. 《고려사》 권85, 〈형법지〉2, 금령, 현종 원년(1010); 12년(1021) 7월; 충렬왕 4년(1278) 3월
  3. 예시: 《영조실록》 권23, 영조 5년(1729) 8월 25일(정묘)
  4. 예시: 《태종실록》 권13, 태종 7년(1407) 5월 8일(신유) 3번째 기사; 《세종실록》 권8, 세종 2년(1420) 4월 10일(무신) 4번째 기사; 《세조실록》 권7, 세조 3년(1457) 5월 18일(경진) 2번째 기사; 《중종실록》 권39, 중종 15년(1520) 6월 8일(갑자) 4번째 기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